thumbnail
Form 다루기1: 폼과 입력 컴포넌트 구조
WEB / FORM / DX / REACT
2023-04-23·16 min read

요약

다양한 Form과 Input을 다루면서 어떻게 하면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고 반복되는 로직을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해 봤습니다.

1. 폼이란?

웹에서 폼(Form)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폼은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순한 역할을 하지만 요구사항에 따라 로직은 얼마든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React에서 폼을 다루기 위해서 비제어 컴포넌트, 제어 컴포넌트 및 유용한 라이브러리(react-hook-form)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폼을 다루는 방식(로직)보다는 폼과 입력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구조에 대한 고민을 정리해 봤습니다.

2. 사용자에게 입력받는 부분(Form)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우선 프로젝트 사용하는 폼에 대해서 파악해보겠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폼

최근 프로젝트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종류의 폼(form)를 다뤘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팀 모집 게시글 작성, 팀 모집 게시글 수정, 유저 프로필 수정, 유저 필수정보 입력, 댓글 및 대댓글 입력, 수정..

다양한 종류의 폼

다양한 종류의 입력

각각의 폼들은 다양한 입력(Input)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Text Input, Text Area, Image, Select-Option, Checkbox, 등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

어떻게 하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컴포넌트와 폼을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2.1 요구사항 분석

폼에서 제어해야 할 로직은 뭐가 있을까요? 여러 가지 복잡한 기능이 있을 수 있지만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로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폼 내부의 입력 컴포넌트 상태 관리하기
    • 입력값 관리
    • 유효성 검사 및 에러 메시지
  • 입력 컴포넌트들의 값을 모아서 제출(submit)하기
  • 유효성 검사에 따른 버튼 비활성화

공통된 로직을 추출했지만, 폼마다 세부 사항은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폼에서 필요한 입력값과 유저의 프로필을 수정하는 폼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로그인 폼

로그인 폼

로그인 폼에서는 이메일, 비밀번호가 필요하고 각각의 입력마다 유효성을 검증하는 로직이 필요합니다. 각각의 입력값에 대한 유효성 검사가 올바르다면 버튼을 활성화합니다.

유저 프로필 수정 폼

유저 프로필 수정 폼

유저의 프로필을 수정하는 폼에서는 닉네임, 기술 스택, 희망 작업 기간, 팀 소속 여부 등등 다양한 형식의 입력이 필요합니다. 닉네임은 중복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기술 스택, 희망 작업 기간 등등은 Text가 아닌 Select 형식의 입력 컴포넌트입니다. 닉네임에 대한 중복 여부 및 필수 입력사항이 입력되었다면 버튼을 활성화합니다.

2.2 공통 부분 정리

폼마다 다루는 데이터는 다르지만 로직은 일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인 동작은 모르더라도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만 정의한다면 재사용할 수 있는 로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 로직: 폼마다 다루는 데이터는 다르지만, 로직은 일관됨으로 하나의 hooks를 만들어서 재사용하기
  • UI: 여러 Input 컴포넌트를 조합해서 사용하기

3. 원하는 방향

위에서 정리한 사항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을 설정해 봤습니다.

  • 다양한 폼에서 일관된 로직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 다양한 종류의 입력 컴포넌트를 폼 단계에서 하나의 핸들러(onchange, onBlur)로 다루기
  • 로직과 UI를 분리하기
    • UI는 상태와 핸들러를 전달받기만 하기
    • 로직은 custom hooks로 관리하기
    • Input 컴포넌트(UI)에 비즈니스 로직(유효성 검사)을 분리하기

3.1 다양한 Input 파악하기

재사용성, 추상화: 반복되는 코드를 줄이면서 재사용할 때는 쉽게 재사용할 수 있게 하기

다양한 종류의 Input 컴포넌트가 있지만 구성은 비슷합니다. 어떤 Input 컴포넌트이든지 사용자의 입력값, 에러 메시지, 라벨(label), place holder가 필요했습니다. 종류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props를 전달받아 동작할 수 있는 컴포넌트로 만들었습니다.

핵심동작(props)

  • id: 입력 컴포넌트 식별자
  • value: 입력 컴포넌트 상태
  • onChange: 입력 컴포넌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함수
  • helperText: 에러 메시지

예시

<SelectInput
  id="job"
  label="직업"
  placeHolder="직업"
  options={jobOptions}
  value={inputValues.job}
  onChange={onChange}
/>
<TechStackSelectInput
  id="techSkills"
  placeholder="기술"
  label="기술"
  value={inputValues.techSkills}
  onChange={onChange}
  helperText={validateError.techSkills}
/>
<TextInput
  id="slogan"
  label="슬로건"
  placeholder="슬로건"
  value={inputValues.slogan}
  onChange={onChange}
  helperText={validateError.slogan}
/>

3.2 로직 분리하기

입력 컴포넌트마다 상태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폼 계층에서 통합에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각각의 입력 컴포넌트들이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도 있고, 버튼을 비활성화하는 로직처럼 다른 곳에서 입력 컴포넌트의 상태를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직을 React 컴포넌트가 아닌 hooks로 분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로직을 더 세분화하자면 상태관리(useForm), 유효성 검증(service폴더), 제출하기(submitCallback)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태관리

폼 안에서 사용하는 입력 컴포넌트들의 입력값과 에러 메시지를 useState 객체로 관리했습니다. Input들의 상태를 객체로 관리하여 폼마다 원하는 Input들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TextInput, SelectInput 등 다양한 Input 컴포넌트들의 상태 변경을 onChangeHandler라는 하나의 함수로 관리했습니다.

const useForm = <T extends Record<string, string>>({
  initialValues,
}: // 생략
UseFormOptions<T>): UseFormReturns<T> => {
  const [inputValues, setInputValues] = useState<T>(initialValues)
  const [validateError, setValidateError] = useState<Record<keyof T, string>>({} as Record<keyof T, string>)

  const onChangeError = (id: keyof T, value: string) => {
    if (mode === FORM_MODE.onChange || mode === FORM_MODE.onBlur) {
      const res = validate({ ...inputValues, [id]: value })
      setValidateError({ ...validateError, [id]: res[id] })
    } else {
      setValidateError(validate({ ...inputValues, [id]: value }))
    }
  }

  const onBlur: ChangeHandler = event => {
    const { id, value } = event.target
    setInputValues({ ...inputValues, [id]: value })
    onChangeError(id, value)
  }

  const onChange: ChangeHandler = event => {
    const { id, value } = event.target
    setInputValues({ ...inputValues, [id]: value })
    if (mode === FORM_MODE.onBlur) return
    onChangeError(id, value)
  }
  // 생략
}

유효성 검증과 에러 메시지

유효성 검증 로직이 UI 분리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React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const Component = () => {
  // 상태관리 로직

  // 스타일과 관련된 코드
  // S.~ : Styled-component
  return <S.Box></S.Box>
}

유효성 검증이 필요한 입력 컴포넌트마다 로직을 props로 전달한다면 스타일과 관련된 부분에 비즈니스와 관련된 로직이 섞여 있어 유지보수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extInput
  validate={{ required: true, maxLength: 20, pattern: /^[A-Za-z]+$/i }}
  // ...생략
/>
<TextInput
  validate={{ required: true, minLength: 5 }}
  // ...생략
/>

각각의 Input 컴포넌트들은 서비스와 관련된 로직을 알 필요가 없습니다. Input 컴포넌트들은 UI 컴포넌트라는 역할에 맞게 유효성 검증이라는 비즈니스 로직이 아닌 에러 메시지라는 상태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TextInput
  id="slogan"
  helperText={validateError.slogan}
  // ...생략
/>
<SelectInput
  id="job"
  helperText={validateError.job}
  // ...생략
/>

유효성을 검증하는 로직은 함수로 만들어 service폴더에서 관리했습니다.

// src/service/auth.validation.ts
export const loginValidate = ({ email, password }: LoginValidateProps): LoginValidateProps => {
  const validateErrors = {
    email: '',
    password: '',
  }
  if (!email) {
    validateErrors.email = '이메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 else if (!email.match(emailRegex)) {
    validateErrors.email = '이메일 형식으로 입력해주세요.'
  }

  if (!password) {
    validateErrors.password = '비빌번호가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 else if (password.length < 8 || password.length > 20) {
    validateErrors.password = '비빌번호는 8자 이상 20자 이하이어야 합니다. '
  }

  return validateErrors
}

제출하기

어떤 폼은 제출 이후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고, 어떤 폼은 제출 전에 이미지를 이미지 서버에 올려야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처럼 폼마다 제출 이후 로직이 다른 경우가 많아 제출함수를 외부에서 주입 받을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const useForm = <T extends Record<string, string>>({
  submitCallback,
}: // 생략
UseFormOptions<T>): UseFormReturns<T> => {
  // 생략
  const submitHandler = async (event: React.FormEvent<HTMLFormElement>): Promise<void> => {
    event && event.preventDefault()

    if (!satisfyAllValidates) {
      showEntireError()
      return
    }
    await submitCallback(inputValues)
    resetInputValues()
    resetValidateErrors()
  }
  // 생략
}

적용하기

앞서 고민한 상태관리(useForm), 유효성 검증(service폴더), 제출하기(submitCallback)의 기능들은 아래와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 Edit User Profile
import { editUserValidation } from '@/service/user.validation'

const submitCallback = async submitData => {
  // 데이터 파싱
  const changedProfileImageSubmitData = await uploadImageFileBeforeSubmit(submitData)
  const parsedSubmitData = newTeamPostParser(changedProfileImageSubmitData)
  // API 요청
  await requestCommand({
    newConfig: { data: parsedSubmitData },
    successMessage: API_MESSAGE.SUCCESS_NEW_TEAM,
  })
  // 생략
}

const { inputValues, validateError, onChange, submitHandler, satisfyAllValidates } = useForm({
  initialValues: {
    nickname,
    profileImage,
    techSkills,
    slogan,
    hopeSession,
    job,
    belongTeam,
    introduction,
    portfolio,
  },
  submitCallback,
  validate: editUserValidation,
})

4. 아쉬운 점

useForm은 활용도가 꽤 높았습니다. 앞서 정리한 요구사항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폼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입력컴포넌트가 여러 페이지에서 분산된 다중 폼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 React의 Context API와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있었습니다.

4.1 진짜로 유용한가?

DX 관점에서 만든 사람만 이해하는 코드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현재 useForm에서 사용되는 핵심 데이터는 3곳으로 분산됩니다.

  • useForm: Input들의 입력 및 에러 상태를 관리합니다.
  • validate: 폼에서 사용되는 Input들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 Submit: Submit 이벤트 발생 시 동작해야 하는 흐름을 구성합니다.

물론, 현재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 코드이지만 프로젝트가 확장되거나 다른 사람이 수정해야 할 때도 유용한 구조인지 고민해 봤습니다.

폼에서 관리해야 하는 상태가 더 복잡해지고, 요구사항이 추가될 때 유연하게 다룰 수 있을까요? 혹은 팀 프로젝트에서 다른 사람이 쉽게 수정할 수 있을까요?

4.2 최적화

useForm에서 사용하는 onChangeHandler는 얕은 복사를 통해 useState의 객체를 변경합니다. 이로인해 하나의 Input 컴포넌트에 사용자가 입력값을 입력할 때마다 폼 전체가 다시 렌더링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리렌더링

비제어 컴포넌트, useImperativeHandle, react-hook-form, Observer-pattern 등 다양한 해결 방법과 리렌더링이 사용자에게 끼칠 영향에 대한 고민은 2부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5. 마무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폼과 입력 컴포넌트들을 다루기 위한 고민을 정리해 봤습니다.

2부인 다음 글에서는 구조가 아닌 useForm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profile-image

Yunho(kimyouknow)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김윤호입니다. 고민과 문제 해결 과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 2022 Developer Yunho(kimyouknow), Powered By Gatsby.